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근로자가 할 수 있는 절세 방법이 여러 가지 있지만 많은 방법으로 절세를 해도 여전히 내야 할 세금은 많은 것 같고 적용세율도 높기만 한 것 같습니다. 이때 공제를 최대한 받기 위해 사전에 실시하면 좋은 것이 모의계산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모의계산의 실행이 좋은 이유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이 좋은 이유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이용하면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을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예상 세금액을 파악하고, 부과세를 줄이기 위한 공제 항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제한도 대비 부족한 부분을 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준비하면 좀 더 현명한 절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 실행 방법

     

    - 국세청 홈택스에 로그인 합니다.
    - 국세청 홈택스 홈화면 우측 아래에 모의계산을 선택합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실행하려면 아래 링크를 이용하면 됩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

     

     

     

    - 연말정산 자동계산의 체크를 클릭합니다(해당 연도를 선택)

     

     

    연말정산 모의계산

     

     

     

    - 총 급여 ·기납부세액을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총 급여(필수), 기납부세액 입력합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

     

     

    - 소득공제 사항을 입력합니다.

    -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항목별 공제금액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

     

     

     

    - 세액공제 사항을 입력합니다.

    - 공제항목명의 오른쪽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감면 또는 공제금액 입력합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

     

     

    공제항목명의 공제와 관련되는 값을 모두 입력한 후 반드시 [계산하기] 버튼 클릭합니다.
    ※ [계산결과상세 보기] 버튼을 통하여 공제액, 추가납부 세액 확인 할 수 있으며, [초기화] 버튼은 모든 항목을 0으로 만듭니다.

     

     

    핀다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예상 세액을 간단하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 버튼을 이용하면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 정산을 잘하면 환급금을 받기 때문에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울 정도입니다. 그러나 자칫 공제를 놓친다면 심하게는 연말 정산후 토해낼 수도 있습니다. 후회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연말정산 모의 계산이 필요합니다. 모의 연말 정산으로 세액을 예상한다면 공제한도에 미치지 못한 항목을 찾아 채울 수 있습니다. 연말 정산 모의 결과에 따라 세부과금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절세를 위한 방법을 찾은 셈입니다. 해당년도의 마지막 날이 오기 전에 세액 공제 항목을 확인해서 준비하지 않으면 늦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이따금 해 보며 대비해야겠습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연말정산 모의계산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연말정산 모의계산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연말정산 모의계산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 모의계산

     

     

     

    연말정산기부금 세액공제 확인하기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부금의 종류와 세액공제 대상금액한도, 세액공제 유형, 기부금 공제 시 제출 서류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말

    okk.nado100.com

     

    반응형